0:00 인모스트투자자문 장재창 대표 (촬영일 2월19일)
0:25 코로나 백신경제가 만들어 내는 한국경제의 변화와 리스크는 어떤게 있나?
2:502020년 4분기 실적 발표 - 미국 실물경제 지표가 홀로 크게 반등. 인플레이션
3:22 좋은 금리상승도 우리에게는 안좋을수 있는 이유?
6:22 주요 국가 코로나 백신 접종 비율 그래프
8:23 GDP 대비 한국 가계부채 100.6%
9:45 테이퍼 텐트럼 긴축발작이 2013년 버냉키의 긴축하겠다는 말에 예상치 않았던 발작이 발생.
10:55 2013년 미국은 경기가 좋으니 금리가 올라가지만 한국은 나쁘기에 떨어질거라 생각하고 30년 장기 국채 투자열풍이 있었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3개월만에 20% 하락했다.
11:28 경기가 좋아지면서 하는 금리인상은 주가를 상승시키는 요소라고 말하지만 적응하는 기간중에 깜짝 발작이 일어난다.
13:45 악재나 호재의 반영이 과거보다 빨라진 이유?
15:00 한국증시 3000선에서 횡보중인데 코로나 백신의 접종비율이 낮아서 생기는 문제인가?
18:00 원화강세는 얼마나 지속 될 것인가?
19:00 빚투, 영끌 해서 늘어난 가계부채 문제는 발작시 한국경제, 증시에 큰 충격을 줄것이다
20:20 경기회복으로 인한 금리인상 됐을 때 적응하는 시간 충격 가능성에 대비하라?
20:50 리스크 관리를 한다는 말의 의미는?
21:00 10년물 미국채 금리가 1.5%(명목금리)가 되면 경계를 시작하고, 실질금리로 1.5%가 되면 중국주식, 한국주식의 비중을 줄일것이다.
21:20 발작이 일어날 시점이라는 생각이 들면 수익난 부분은 모두 현금화 할 것이다.